cauccms301

2022-2 김한상

2022-2학기 중앙대학교 영화미디어학센터 콜로키엄 시네-모빌리티 :시각성과 이동성의 교차로 읽는 영화의 세기 한국 김한상 Kim Han-Sang 일시 : 2022년 11월 11일 (금) 19:00 (KST) 강연자 : 김한상 Kim Han-Sang 본 강의는 시각적 이동성 체제의 변천(transformation of the regimes of visual mobility)이라는 이론 틀을 통해 20세기 한국역사를 추적하려는 시도이다. 개항 이후 철도 개통과 최초의 영화상영이라는 사건에서부터 1980년대 중후반의 자동화(automation) 담론과 1990년대의 금융자동화 시스템 구축에 이르기까지, 20세기 한국사회를 시각 미디어와 근대적 운송수단의제휴가 만들어내는 주체형성 과정으로 읽어내려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단순하게 ‘20세기 한국사회’, ‘영화’, ‘운송 수단’과 같은소재들을 결합한 문화사적인 연구가 아니라, 감각적 경험세계의변화로 인한 사회변동을 읽어 내기 위한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려는 시도이다. 영화와 같은 시각적 미디어가 보는 이에게 어떤 사실 정보의 전달보다는 시각적 경험세계와의 역동적인 상호작용을하게 만든다는 문제의식, 즉 현대의 미디어 환경에서 시각적 경험세계가 인간과 만나고 사회적인 의미를 생성하는 과정은 동적(kinetic)이며, 많은 경우 시각적인 것은 고정된 하나의 의미로 머무르기보다는 연속된 움직임의 일부로서, 보는 이에게 앞뒤로 개방된 세계에 대한 상상력을 자극한다는 것이 이 강의가 한국사회를 읽어 내기 위한 기본 전제이다. 김한상은 아주대학교 사회학과에서 시각문화, 아카이브, 영상사회학 방법론 등을 가르치고 있으며, 세계영상사회학회(IVSA)의운영이사이다. 본 강의의 토대가 된 책 Cine-Mobility: Twentieth-Century Transformations in Korea’s Film and Transportation (2022,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을 바탕으로 시각적 아카이브 자료의 적극적, 문화기술지적 읽기에 대한 방법론적 연구로 확장해 나가는 중이다.

2022-2 아만다 로츠

2022-2학기 중앙대학교 영화미디어학센터 콜로키엄 스트리밍 비디오 조사를 위한 주요 개념들 아만다 로츠 Amanda D. Lotz 일시 : 2022년 12월 6일 (화) 19:00 (KST) 강연자 : 아만다 로츠 Amanda D. Lotz 넷플릭스와 같은 구독자 자금 지원(subscriber-funded) 스트리밍 서비스 비즈니스는 이전 비디오 비즈니스와 겉보기에 유사하지만, 이를 적절하게 이해하는데 있어서 차이가 중요하다. 이 강연에서는 이전의 배포 기술과 구별되고

2023-1 티아고 드 루카

2023-1학기 중앙대학교 영화미디어학센터 콜로키엄 지구적 영화: 영화와 미디어사를 통해 지구를 그려보기 티아고 드 루카 Tiago de Luca 일시 : 2023년 3월 31일 (금) 19:00 (KST) 강연자 : 티아고 드 루카 Tiago de Luca 최근 저서 [지구적 영화: 영화, 미디어와 지구](2022)에 대한 이 강연에서 ‘지구적 영화’ 개념을 성찰한다. 이 개념과 관련되어 세계를 영화제작, 배급 및 소비의

2023-1 진 마

2023-1학기 중앙대학교 영화미디어학센터 콜로키엄 영화에서 잠의 작은 역사 진 마 Jean Ma 일시 : 2024년 4월 28일(금) 11:00 (KST) 강연자 : 진 마 Jean Ma 이 강의는 영사되는 무빙 이미지의 전체 역사에 출몰하는 인물, 즉 잠자는 관객을 중심으로 다룬다. 다양한 감독과 작가들이 영화가 고유하게 가져올 수 있는 것으로 보이는 변화된 상태에 반응했고, 관객이 완전히 깨어있을

2023-1 부찬용

2023-1학기 중앙대학교 영화미디어학센터 콜로키엄 쇳물 같은 데이터: 포항제철의 1990년대 미디어아트가 그려낸 정보화사회 부찬용 Bu Chan Yong 일시 : 2023년 5월 12(금)일 19:00 (KST) 강연자 : 부찬용 Bu Chan Yong 본 발표는 포항제철종합주식회사(현 POSCO)가 1993년 대전엑스포를 위해 제작한 기업전시관인 “소재관”의 독창성을 1990년대 한국의 지정학적 상황 및 신물질주의(new materialism), 그리고 데이터미학의 틀 속에서 조명한다. 한국의 정보화사회 청사진 그리기를

2023-1 베르나르드 디오니시우스 게겐

2023-1학기 중앙대학교 영화미디어학 콜로키엄 코드화를 학습하기: 정보이론에서 프랑스 이론으로 버나드 디오니시우스 게겐 Bernard Dionysius Geoghegan  일시 : 2023년 5월 26일(금) 19:00 (KST) 강연자 : 버나드 디오니시우스 게겐 Bernard Dionysius Geoghegan 20세기 후반 사이버네틱스와 정보이론을 중심으로 발전한 ‘코드’의 정보과학 이론은 팔로 알토(Palo Alto)에서의 가족 치료, 파리 기호학, 미국 인문대학에서 부상한 문화이론 등 다양한 환경에서 어떻게 그리고

2023-2 비쉬누프리야 고쉬

2023-2학기 중앙대학교 영화미디어학센터 콜로키엄 전염병 에피스테메의 다종 정치 비쉬누프리야 고쉬 Bishnupriya Ghosh 일시 : 2023년 10월 27일 (금) 11:00 (KST) 강연자 : 비쉬누프리야 고쉬 Bishnupriya Ghosh 이 강연은 저서 [바이러스 터치](The Virus Touch, 2023)를 통해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진다. 전염병의 긴급 상황 속에서 다종(multispecies)이 된다는 것은 무엇을 뜻하는가? 하나의 생명체, 즉 병원체가 실존적 위협을 가할

2023-2 유씨 파리카

2023-2학기 중앙대학교 영화미디어학센터 콜로키엄 바닥까지 내려가는 작동, 또는 지구에 생명이 존재하는가? 유씨 파리카 Jussi Parikka 일시 : 2023년 12월 8일 (금) 19:00 (KST) 강연자 : 유씨 파리카 Jussi Parikka 하룬 파로키의 ‘작동 이미지(operational image)’ 개념은 대부분 다소 순환적인 방식으로 정의된다. 즉 작동 이미지는 작동하지만 부차적으로 사물을 재현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 강연에서는 작동 이미지를 확장하여 지난 몇

2024-1 줄리아나 브루노

2024-1학기 중앙대학교 영화미디어학센터 콜로키엄 영사의 공기 줄리아나 브루노 Giuliana Bruno 일시 : 2024년 4월 5일 (금) 9:00 (KST) 강연자 : 줄리아나 브루노 Giuliana Bruno 공기란 무엇인가? 공기는 무엇을 ‘영사’하는가? 공기는 시각적 환경을 어떻게 생성하고 매개하는가? 영사란 무엇인가? 영사는 그 자체가 하나의 매체이자 환경이다. 그림자 연극부터 카메라 옵스큐라, 환등기 쇼에 이르기까지 영사는 오랫동안 공간을 변화시켜 왔다.

2024-1 안토니오 소마이니

2024-1학기 중앙대학교 영화미디어학센터 콜로키엄 가시적인 것과 말할 수 있는 것: 생성형 AI, 잠재공간, 이미지-단어 관계 안토니오 소마이니 Antonio Somaini 일시 : 2024년 5월 31(금) 19:00 (KST) 강연자 : 안토니오 소마이니 Antonio Somaini 현재 AI 기술이 이미지와 시각 문화에 미치는 영향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는 이러한 기술이 이미지와 단어 사이의 관계를 근본적으로 재구성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특히 최근의 텍스트-이미지 및

위로 스크롤